업무흐름도

건설공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사업기간(Time), 사업비용(Cost), 품질(Quality) 등 3가지 항목이 관리하여야 할 핵심적인 목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각 목표들은 독립적으로 관리되는 것이 아니고 상호간섭적인 연결관계에 의해 최적의 목표와 관리기준을 수립하게 된다. 사업비용(Cost)도 예외는 아니며, 사업기간, 품질과의 상호간섭관계에 근거하여 관리하는 것이 건설사업관리기술자의 중요한 임무 중 하나이다. 사업비용을 관리하는 업무는 크게 예산을 검증하는 업무와 예산을 통제하는 업무로 대변할 수 있다. 건설사업관리기술자는 사업착수시부터 완공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별로 비용에 대한 정확한 예측과 관리를 통하여 최고의 품질을 확보하면서 예산내에서 최선의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1 발주청
건설사업관리기술자가 제출한 사업비에 대한 검토서 및 방안이 제시된 보고서에 대하여 검토하고, 필요시 의견 또는 지침을 제시한다.
2.2 건설사업관리기술자
사업비에 대한 예산 검증 및 통제업무를 지원하고, 필요시 기술검토보고서를 제출한다.
2.3 시공자
건설사업관리기술자의 요청에 의한 자료를 제출한다.
3.1 예산검증
(1) 건설사업관리기술자는 예산검증 및 공사도급계약/관급자재계약과 관련하여 기술적 검토를 해야 하며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다.
① 예산확정 여부 및 계약방식(예 : 장기계속계약, 계속비계약, 단년도계약)에 따라 자금집행계획 수립지원(연도별예산 및 연부액을 고려하여)
② 공사도급 및 납품계약이 연도별 예산의 범위내에 해당 되는지, 산출내역 및 예정공정률(보할률)의 적정성 검토, 관급자재의 경우 납품시기의 적정성 검토 및 조정이 필요한 경우 기술지원 업무
③ 계약시기에 따른 원가계산제비율 규정의 준수 여부(항목누락여부, 최소비율항목, 최대비율항목)
3.2 예산통제업무지원
(1) 건설사업관리기술자는 기성 및 계약변경에 의한 예산 모니터링 및 예측 등 통제업무지원을 수행하여야 하며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다.
① 예산대비 선금, 차수별 기성집행, 관급자재 대가지급 등 그 밖에 지출비용 집행현황 모니터링 및 분석 등
② 설계변경 및 물가변동에 의한 계약금액 조정 시 예산변동상황 모니터링 및 분석 등 발주청 예산통제업무 지원(필요시 방안제시)
③ 기능향상 또는 공사비 절감을 위한 시공V.E 수행 업무지원
4.1 「건설공사 사업관리방식 검토기준 및 업무수행지침」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