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흐름도

가설시설물이라 함은 공사기간동안 한시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공사용도로, 가설사무소, 자재 야적장 등 외에도 플랜트 및 크랏샤장 등 제조설비, 환경오염저감설비, 급배수설비 등을 건설하는 공사를 의미한다.

가설시설물은 모두 공사기간동안 건설하여 한시적으로 존재하는 시설물이어서 공사계약문서에 포함되는 설계도서에는 없는 경우가 많으며 작성주체 또한 시공자일 때가 많다. 그러므로 가설시설물 설계도서의 검토‧승인이 소홀할 경우가 있다.

또한 임시 시설이라는 이유로 각종 인‧허가를 도외시할 경우가 있으며 시공과정에서의 품질관리 등이 소홀해지기 쉽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설사업관리기술자는 공사착공과 동시에 가시설물 설치계획서를 시공자로부터 제출받아 공사의 계획에 대해 검토 ‧ 승인하고 시공 중 검측을 수행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본 절차서를 적용할 수 있다.

2.1 발주청

건설사업관리기술자로부터 제출받은 가설시설물 설치계획서를 제출받아 적정 여부를 검토․협의 한다.

2.2 건설사업관리기술자

시공자로부터 제출받은 가설시설물 설치계획서에 대한 적정여부를 검토하여 발주청과 협의, 승인한다.

2.3 시공자

공사 착공과 동시에 가설시설물 설치계획서를 작성, 제출한다.

3.1 건설사업관리기술자는 공사착공과 동시에 시공자에게 다음의 가시설물의 면적, 위치 등을 표시한 가설시설물 설치계획서를 제출하도록 한다.

(1) 공사용 도로

(2) 가설사무소, 작업장, 창고, 숙소, 식당 등

(3) 콘크리트 타워 및 리프트 설치

(4) 자재 야적장

(5) 공사용 전력, 용수, 전화

(6) 플랜트 및 크럇샤장

(7) 폐수처리설비 등의 공해방지시설

3.2 건설사업관리기술자는 3.1의 가설시설물 설치계획서에 대하여 다음의 내용을 검토하고 발주청과 협의하여 시공자에게 승인한다.

(1) 가설시설물의 규모는 공사규모 및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정하여야 하며, 위치는 건설사업관리기술자가 공사 전구간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공사 중의 동선계획을 고려할 것

(2) 가설시설물이 공사 중에 이동, 철거되지 않도록 지하구조물의 시공위치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를 선정

(3) 가설시설물에 우수가 침입되지 않도록 대지조성 시공기면(E.L)보다 높게 설치하고, 홍수 시 피해발생 유무 등을 고려할 것

(4) 식당, 세면장 등에서 사용한 물의 배수가 용이하고 주변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조치

(5) 가설시설물의 이용 및 플랜트시설의 가동 등으로 인해 인접 주민들에게 공해를 발생하는 등 민원이 없도록 조치

3.3 건설사업관리기술자는 3.1항에 따른 가설시설물 설치계획서에 건설현장식당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현장식당 선정계획서를 제출받아 업체선정의 적정성 여부 등을 검토한 후 시공자로 하여금 발주청에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없음

5.1 가설시설물 검토기준(예시)

첨부5.1)

가설시설물의 검토기준(예시)

가설비종류 주 요 내 용 시 설 기 준 검 토
공 사 용

도 로

기자재 반입을 위한 도로확장, 신설,

교량 보강, 신설

부지 및 시설사용 허가

타공종과의 간섭(공사진도

방해 등)

침수 또는 배수시설

규격 및 시방의 범위

환경규칙 및 산업안전법

규정 적용

구조설계의 기준

공 사 용

궤 도

궤도부설

신호통신 시설 설치

삭 도

크 레 인

가공삭도, 트럭크레인, 타워

크레인, 호이스트, 엘리베이터

침수 및 배수시설 검토

지내력, 사면안정 등 검토

공사내용 대비 설비용량

부지활동용 대비 설비종류

기준

설치위치 선정기준(타공종

과 간섭관계)

설치기간

환경 및 산업안전법 규정

적용

시설의 구조 검토

콘베이어류 벨트 콘베이어,

스크류콘베이어,

버켓콘베이어

운반설비 공기압송 설비,

수력수송 설비

하역설비 허퍼, Shute, Derrick, 윈치, 로더,

O/H Crane

기 교 수상작업대,

가설접안시설

자재별 사용 기준

구조계산 기준

설치공사 시방서

환경 및 산업안전 기준

지 보 공 동바리, Pipe,Support, 기타 가설

지주

가설비종류 주 요 내 용 시 설 기 준 검 토
재 료

적 치 장

골재 적치장, 양회 저장시설,

폭약 저장시설, 철강재 적치시설

교통 및 타종과의 간섭관계

작업장비 및 작업량 대비

시설 규모

규격 및 시방

환경 및 산업안전 기준

방 호,

안 전 시 설

방호벽, 방호망, 조명, 안내표시
전력설치 상전, 자가발전,

송배전 및 변전설비

급전형식 및 기기 종류

사용기간 및 용량

설비기준

환경 및 산업안전기준

급수설비 수도시설, 계기, 지하수 관정,

펌프류

급수방식 기준

하천법, 환경 몇 산업안전

기준

설비기준

사용기간 및 용량

토 류,

체 절

H-Pile 토류판공, 지중연속벽,

주열벽, Sheet Pile, 케이슨,

Sheet Pile Cell, 축도

현장조건 대비 공법 선정

기준

사용기간 및 용량

시설 구조계산 기준

환경 및 산업안전 기준

배 수,

지수설비

Well-Point, 배수공, 배수구,

Pump, Grouting, 방수공,

동결공법, 오폐수 처리시설

Concrete

타설설비

Shute, Concrete 펌프, 호퍼,

버켓

대비 사용장비 기준

작업량 대비 용량 기준

시설구조 계산 기준

환경 및 산업안전 기준

Batch Plant B/P, 골재 저장시설,

양회 저장시설, 수송설비

크랏샤 Plant 크랏샤, 스크린, 세정시설,

저장시설, 적하시설